GENRES
TYPES
EXCLUSIVE & RARE
Contact
Payment
모바일 버전으로 이동하기
로그인 관련 에러 발생시에는 우선 인터넷 브라우저의 쿠키 및 임시파일을 삭제 후 다시 시도해주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것은 FAQ의 [로그인 및 접속 에러시 조치안내]를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CLOSE
3일간 팝업창 열지 않기
연휴로 인해 택배 출고는 부터 재개될 예정입니다
평일 기준 오후 3시 이전에 결제 확인시, 대부분 당일 발송 처리됩니다 (단, 결제 확인 지연시 다음날 출고)
주문내에 입고 예정(Pre-order) 및 개별구매 대행 제품이 포함된 경우, 모든 제품이 입고된 후 발송됩니다
그외 개인적인 사정상 배송을 늦추길 원하시면, 주문시 메모란에 적거나 1:1 Q&A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Amnesiac [Limited Edition]
이 음반의 첫번째 추천자가 되어주세요
+ 확대 | - 축소
신보라고는 하지만 [Amnesiac]은 [Kid A]가 발매됐을 당시부터 이미 말이 있던 앨범이었다. 모두 [Kid A]때 함께 만들어지고 녹음되었던 트랙들로, 밴드 측에 따르면 [Kid A]에 실리지 않은 나머지(`leftovers`)들을 담은 것이라는. 그러나 단순히 쓰고 남은 것들을 구제한 부수적인 앨범이라는 의미와는 거리가 멀다. 오히려 밴드가 [Kid A]에서 잡은 성격에 맞지 않은 곡들을 [Kid A]와는 또 다른 맥락의 테마로 배치한, 엄밀하게 말해 [Kid A]와 동격의 의미를 갖는 쌍둥이 같은 앨범이다. 애초 하나의 작품일 수 있었던 것을(혹은 그렇게 되어야 했던 것을) 왜 하필 몇 개월의 차이를 두고 대중을 향해 이렇게 시간차 공격을 한 것인지의 진의에 대해서는, 일부 저널들이 지적하는 것처럼 `[Kid A]의 비상업적+실험적 성격에 대한 대중성의 보완`이라는 설이 반드시 타당하지는 않더라도, 확실히 밴드측도 [Kid A]때와는 차이가 있는 싱글 커드-비디오 제작-대규모 투어 등 적극적인 홍보 의지를 나타내고 있는 것으로 보아 있을 법한 추측일 것이다.
그러나 여기에는 뭔가 이상한 구석이 있다. [Amnesiac]이 과연 얼마나 대중적이길래. 다시 말해 [Kid A]가 정말 그렇게까지 대중을 따돌리는 작품이었단 소린지. 여기에는 역시 [Kid A]에 대한 일말의 의심(혹은 음모이론)이 묻어있다. 과연 [Amnesiac]은 [Kid A]가 (애초 기대되었던 만큼의) 주의의 동의를 획득하지 못했기 때문에 그에 당황한 주최측의 뒤늦은 벌충 전략이어야만 할까. 그렇다면 놀랍게도 [Amnesiac]은 별로 영리한 전략이 아니다. 이 앨범에는 `지난번에 우리는 오해되었기에 여기 그렇지 않다는 증거를 제시한다`는 발분한 항변도, 혹은 `지난번 것은 우리가 듣는 음악이었고 이번에는 너희가 듣는 음악을 주마`는 오만한 계몽도 없다. [Kid A]에 비해 좀 더 많은 가사와 좀 더 적은 인스트루멘틀이 있을 뿐이다. 이 차이는 확실히 보다 익숙하다는 편안함을 주지만, 이를 굳이 대중적이라고 해석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시장의 논리에 불과하다.
이 지점에서 외관상 가장 먼저 발견되는 것은 Morning Bell/Amnesiac으로, [Kid A]의 Morning Bell과 탯줄처럼 연결되어 있는 반복 변주이다. 그리고 이 반복은 없다가 덧붙여진 `amnesia`이 지시하는 만큼의 기억상싱(amnesiac)의 모티브가 의미심장하게 작용하고 있다: 지금 이 모닝 벨은 [Kid A]가 아니라 [Amnesiac]의 `다른` 모닝 벨이며, 여기에는 `완전히 잊고 있다가` 5개월만에 불현듯 기억해낸 자신의 예전의 어떤 노래라는 [Kid A] 당시의 톰 요크 개인의 작곡 일화, 그리고 가사는 잘라낸 반면 제목은 덧붙인 후자 버전의 형태가 긴밀하게 묘한 상관관계들을 만들고 있는 것이다. [Kid A]와 [Amnesiac]은 가사에서처럼 정말로 `반으로 잘려진 아이`의 양쪽 절반들 같다.
하지만 [Kid A]의 카마(karma)로서만 [Amnesiac]이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대부분의 곡들은 (그렇게 하려고만 하면) 놀랄 만큼 독립적으로 들린다. 전반적으로 도전적인 심상과 서정적인 심상을 사운드상으로 갈마들도록 배치한 앨범의 단선적 곡 구성은 듣는 사람의 내부에 일정한 파도를 치게 하는데, 그 와중에서 특히 소위 `서정적`인 쪽으로 분류될 법한 짝수 번호 트랙들, 즉 Pyramid Song과 You And Whose Army- (후문에 의하면 토니 블레어를 향한 안티 메시지라는-) 그리고 Knives Out 등이 모두 싱글로서의 가능성을 점치게 할 만한 형태를 갖추고 있다는 점은 흥미롭다. (실제로 Pyramid Song은 이번 앨범의 첫 싱글로 이미 결정된 상태다.) 반면 가장 도전적인 트랙으로선 아마 Life In A Glasshouse를 꼽지 않을 수 없을 것이다. 듣기에 따라서는 어느 정도 충격일 수도 있을 이 라디오헤드와 정통 뉴올리언즈 재즈와의 만남(이 얼마나 기묘한 한 쌍인가 : 하지만 밴드는 어쨌든 베테랑 재즈 트럼페터인 험프리 라이틀튼을 직접 섭외하는 진지함을 보였다)은, 단순하게는 역시 [Kid A]의 National Anthem과 연결되는 공통의 `재즈 테마`로 해석될 수도 있겠지만, 멤버들의 말을 통해 밴드 내부에서 이 재즈가 비단 사운드만이 아니라 이번 [Kid A]와 [Amnesiac] 세션 시의 전반적인 `태도(attitude)`의 문제이기도 했던 것을 보면, 단순한 기분전환의 시도 이상의 그 무엇일 것으로 추측된다. …그리고 덧붙여, 능란하고 불길하게 일렁이다가 마지막 일격으로 조용히 휘몰아치는 Dollars & Cents의 묵시록 또한 인상적이다.
이상한 말이지만 이 앨범은 [Kid A]와 긴밀한 동시에 또한 홀로 독자적이다. 차이는 분명히 있다. 톰이 묘사하듯 "전작이 멀리서 난 불을 바라보는 것이었다면 이번 앨범은 몸소 그 불 한가운데 있는 것" 만큼의 차이가. 그리고 그 사이에 amnesiac, `기억 상실`이 레테의 강처럼 흐른다. "사람은 태어날 때 장차 맞게 될 삶을 어떻게든 살아갈 수 있도록 그전까지 우리가 어디서 왔는지의 기억이 모두 지워지게 된다"고 믿었던 그노시스파 학자들의 생각에 의탁한 이 앨범에 따르면, 그 `기억상실`이란 실제로 실존의 근거가 된다. 라디오헤드는 그 참을 수 없는 존재의 무거움을 아는 듯하다. 그리고 잊지 않고 있다.
010524. 성문영.
자료제공 / EMI KOREA
Hardcover book containing artwork by Stanley Donwood and Tchocky.
Contains a mock library card and cardholder which, despite the album release date, is covered in dates ranging from 29 Jun 1996 to 06 Feb 2012. Cardholder is also used to hold the CD. Track 3 is erroneously listed in the book as "Pull/Pulk Revolving Doo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