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RES
TYPES
EXCLUSIVE & RARE
Contact
Payment
모바일 버전으로 이동하기
로그인 관련 에러 발생시에는 우선 인터넷 브라우저의 쿠키 및 임시파일을 삭제 후 다시 시도해주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것은 FAQ의 [로그인 및 접속 에러시 조치안내]를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CLOSE
3일간 팝업창 열지 않기
연휴로 인해 택배 출고는 부터 재개될 예정입니다
평일 기준 오후 3시 이전에 결제 확인시, 대부분 당일 발송 처리됩니다 (단, 결제 확인 지연시 다음날 출고)
주문내에 입고 예정(Pre-order) 및 개별구매 대행 제품이 포함된 경우, 모든 제품이 입고된 후 발송됩니다
그외 개인적인 사정상 배송을 늦추길 원하시면, 주문시 메모란에 적거나 1:1 Q&A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Mechanical Animals
이 음반은 현재 21분께서 추천해주셨습니다
+ 확대 | - 축소
무르익어가는 세기말적 분위기 속에서 트레이드 마크인 쇼크록 x 인더스트리얼적 요소와 70년대 글램록을 접목해 변신에 성공한 마릴린 맨슨의 역작 Mechanical Animal (1998)
일찌기 1989년 데스메틀의 성지인 플로리다에서 "Marilyn Manson & the Spooky Kids"라는 이름으로 결성된 밴드는 90년대 초반 로컬 클럽 등지에서 남다른 퍼포먼스를 중심으로 나름의 컬트팬층을 만들어내며 가능성을 보이지만, 로컬 밴드의 한계를 극복하고 전국구를 넘어 세계적인 밴드로 거듭난 것은 1993년 Nine Inch Nails의 천재 트렌트 레즈너와 만나 그의 레이블인 Nothing Records와 계약을 하면서부터라 할 수 있다.
NIN의 Downward Spiral과 같은 해인 1994년 7월 정식 데뷔 앨범 "Portrait of an American Family"는 즉각적으로 큰 반응을 얻지는 못했지만 "Get Your Gunn", "Lunchbox" 등의 싱글들이 마이너 히트를 기록했고, 일찌감치 인더스트리얼록의 황제로 등극한 트렌트 레즈너의 프로듀싱과 지원에 힘입어 착실히 팬층을 넓혀나갔다. 특히 1995년에 발표된 Smells Like Children EP(사실상 미발표곡과 커버곡, 리믹스 버전 등으로 구성된 B-사이드 스페셜 앨범)에서 유리스믹스의 신스팝 고전 Sweet Dreams를 상상을 초월하는 기괴한 형태로 커버하며 대중들의 관심을 끄는데 성공한다. 음악적으로 헤비메틀에 기반한 인더스트리얼록적인 요소가 강하지만 일반 대중들이 받아들이기에는 다소 충격적이고 불경스러운 퍼포먼스적으로는 앨리스 쿠퍼 등의 계보를 잇는 쇼크록적인 요소로 이들을 새로운 형태의 쇼크록으로 구분짓는 평론가들도 많았다.
착실히 내공을 쌓아간 밴드는 이듬해 두번째 정규 앨범 "Antichrist Superstar"(1996)를 발표하고 이를 통해 자신들만의 완전한 음악적 영역을 구축하는데 성공한다. 트렌트 레즈너 뿐 아니라 션 빈, 크리스 브레나, 로빈 핑크 등 여러 실력파 뮤지션들이 참여한 2집은 음악 자체로나 대중적 퍼포먼스와 이미지 메이킹에 있어서나 거의 모든 면에서 한층더 발전된 모습을 보여주었다. 대중들에게는 마릴린 맨슨의 존재감이 워낙 컸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음악적으로는 나머지 밴드들의 케미스트리도 한층더 발전했다. 2집은 높은 완성도 뿐 아니라 누구도 예상못한 빌보드 앨범 차트 3위와 멀티플래티넘이라는 쾌거를 이루었다. 이들이 유명해지며 가사, 뮤직비디오, 퍼포먼스, 인터뷰 등을 통해 수많은 매스미디어에 오르내리며 수시로 논란의 중심에 섰지만 그러면 그럴수록 오히려 이들에게 열광하는 팬들은 점점 더 늘어만 갔고, MM은 말그대로 수퍼스타가 되어버렸다.
한편, 전작의 프로모션 월드 투어인 "Dead to the World Tour"를 마친 이후 거의 만 2년여만에 발매된 3번째 정규 앨범인 "Mechanical Animals"(1998/09/14)은 밴드에게 첫 빌보드 앨범 차트 1위의 영광을 안겨주며 메이이저급 거물 밴드가 된 사실에 확인 도장을 찍었다. 본 앨범의 가장 큰 특징은 2집까지의 인더스트리얼록적인 요소는 유지했지만, 곳곳에 70년대 글램록의 차용하고 있다는 점이다. 특히 양성적인 느낌의 캐릭터와 화려한 비주얼은 70년대초의 데이빗 보위 화신이었던 지기(Ziggy)가 발전된 세기말의 버전 느낌이다. 앨범 전체의 주제 및 구조상 록오페라 형식의 컨셉 앨범으로 제작된 본 앨범은 전작을 잇는 3부작 중 2번째 파트로 다음 앨범인 Holy Wood (In the Shadow of the Valley of Death)로 이어진다. 헤드뱅잉용으로 최적화된 록넘버 "Rock Is Dead"는 싱글 자체로도 크게 히트했으며 영화 매트릭스에도 수록되며 큰 사랑을 받았다. 하지만 그보다 약물(사실 넓은 의미에서 이는 단순히 마약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인간을 어리석게 만들고 황폐화시키는 TV 등의 매스미디어와 종교까지 포함한다)을 다루고 있는 앨범의 주제와 분위기를 대표하는 곡들은 오히려 "Dope Show", "I Don't Like the Drugs (But the Drugs Like Me)", "Coma White"와 같은 곡들이다.
한편 이번 앨범에서는 트렌트 레즈너가 처음으로 완전히 제작에서 빠지고 사운드가든, 레드핫칠리페퍼스 등의 프로듀서로 실력을 인정받은 마이클 베인혼과 션 빈이 공동 프로듀싱을 담당했다. 마릴린 맨슨과 친분이 깊은 스매싱 펌킨스의 리더인 빌리 코건 또한 앨범의 제작 초기에 제작에 대한 조언을 준 것으로 알려졌다. 또한 전작을 마지막으로 탈퇴한 오리지널 기타리스트 Daisy Berkowitz를 대신해 Dead To World 투어부터 밴드와 함께 했던Zim Zum이 정식 멤버로 가입을 하며 연주 뿐 아니라 작곡에도 도움을 주었다. 전곡의 가사는 마릴린 맨슨(개인)이 담당했고, 작곡은 거의 모든 곡에 참여한 트위기 라미레즈를 중심으로 나머지 멤버들이 두루 참여했다.
* Producer : Sean Beavan · Michael Beinhorn · Marilyn Manson
* US 앨범 차트 : 1위
* AMG : 8/10
Marilyn Manson - vocals, vocoder, electric drums and syncussion, synthesizer, guitar(track 13), piano, photography, production
Zim Zum - guitars, synth-guitar (track 6), composer
Twiggy Ramirez - bass, guitar, synth-bass, noises, composer
Ginger Fish - drums, electric drums
Madonna Wayne Gacy - keyboards, piano, mellotron, shaker, electric percussion, sampler, synth-bass, electric drum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