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RES
TYPES
EXCLUSIVE & RARE
Contact
Payment
모바일 버전으로 이동하기
로그인 관련 에러 발생시에는 우선 인터넷 브라우저의 쿠키 및 임시파일을 삭제 후 다시 시도해주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것은 FAQ의 [로그인 및 접속 에러시 조치안내]를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CLOSE
3일간 팝업창 열지 않기
연휴로 인해 택배 출고는 부터 재개될 예정입니다
평일 기준 오후 3시 이전에 결제 확인시, 대부분 당일 발송 처리됩니다 (단, 결제 확인 지연시 다음날 출고)
주문내에 입고 예정(Pre-order) 및 개별구매 대행 제품이 포함된 경우, 모든 제품이 입고된 후 발송됩니다
그외 개인적인 사정상 배송을 늦추길 원하시면, 주문시 메모란에 적거나 1:1 Q&A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Lost Highway 로스트 하이웨이 [OST]
이 음반은 현재 12분께서 추천해주셨습니다
+ 확대 | - 축소
NIN의 천재 아티스트 트렌트 레즈너와 데이빗 린치 감독이 모여 탄생시킨 메가톤급 사운드트랙 Lost Highway (1997년 作)
문제작 만들기로 유명한 데이빗 린치 감독의 1997년작 Lost Highway의 사운드트랙으로 수록곡들 면면만 보더라도 엄청난 퀄리티를 자랑하는 앨범이다. 우선 당시 인더스트리얼 뮤직의 제왕으로 Nine Inch Nails의 리더를 맡고 있던 트렌트 레즈너가 미발표 신곡 "The Perfect Drug"을 제공했을 뿐 아니라, 프로듀싱과 선곡 등 음악 감독을 담당해 음악팬들에게는 영화 이상으로 큰 반향을 일으켰다. 트렌트 레즈너는 이미 1994년에 영화 Natural Born Killers의 OST를 감독하며 영화 음악에 대한 관심을 보여왔으며 최근까지도 유명 작품들의 OST 감독을 하거나 곡을 제공하는 등의 방식으로 다양한 스타일의 영화에 직간접적으로 참여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데이빗 린치 감독과 트렌트 레즈너의 만남은 매우 성공적이었다. 록팬들이라면 단번에 알아차릴 수 있겠지만, 수록곡들 면면을 살펴보면 단순한 록 컴필레이션 앨범이 아니라는 점을 쉽게 알아차릴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이유로 본 앨범은 90년대 최고의 록 OST 중 하나로 손꼽히기도 한다.
앞서 언급한 NIN(트렌트 레즈너)은 싱글로 발매되며 큰 인기를 끈 신곡 "The Perfect Drug" - 이 곡은 오직 본 앨범에 최초이자 유일하게 수록되어 있어 이 곡 하나만으로도 OST의 가치를 충분히 높여준다 - 외에도 트렌트 레즈너의 이름으로 "Videodrones/Questions", "Driver Down" 등 다수의 신곡/미발표곡을 제공했다. 사실 이 3곡만으로도 NIN의 팬들에게는 본 OST의 가치는 충분하다. 게다가 90년대 중반 당시 지구 최고의 문제작이었던 2집 Antichrist Superstar (1996)를 대중적으로까지 폭발시키며 NIN와 함께 90년대 이후 인더스트리얼계를 이끌어나간 Marilyn Manson 또한 오리지널 신곡 "Apple Of Sodom"(첫번째 싱글)과 50년대 클래식 팝 넘버를 재해석한 커버곡 "I Put A Spell On You" 등 2곡을 제공했다. 이 곡들은 모두 전성기 시절 마릴린 맨슨의 매력에 영화와 어울리는 기묘한 분위기를 자아낸다.
또한 당시 더블 CD 컨셉 앨범 Melon Collie And Infinite Sadness로 거대한 음악적, 대중적 성공을 거두며 당대 최고의 얼터너티브 록밴드로 최전성기를 구가하던 스매싱 펌킨스 역시 오리지널 신곡 "Eye" (세번째 싱글)을 제공한다. 이 곡 역시 본 앨범에만 수록된 신곡으로, 곡 자체의 완성도도 뛰어나지만 이듬해 발표될 4집 Adore (1998)에 대한 일종의 예고편으로서 밴드의 90년대 후반 일렉트로니카 요소를 적극 받아들인 그들의 음악적 방향을 명확히 제시하고 있는 중요한 곡이다.
하지만 이 밖에도 국내에서는 당시까지 잘 알려져있지 않았으나, 1999년 발표된 SF 영화 매트릭스(Matrix)의 사운드트랙 등을 통해 큰 관심을 받기 시작한 독일산 인더스트리얼 메틀 밴드 람슈타인(Rammstein)의 2곡, 거기에 실험적, 진보적 음악의 대명사들이자 거장들인 루 리드와 (당시 트렌트 레즈너와 콜라보를 하기도 했던) 데이빗 보위의 곡 들도 절대 놓쳐서는 안될 트랙들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트렌트 레즈너와 함께 본 OST에서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인물 Angelo Badalamenti와 록은 물론 아방가드르, 재즈, 일렉트로니카, 포스트 펑크, 라운지 등 매우 다양한 장르를 구사하는 영국 출신의 아티스트 Barry Adamson의 음악도 결코 만만하지 않다. Angelo Badalamenti는 데이빗 린치 감독과는 "블루 벨벳", "광란의 사랑", "트윈 픽스", "멀홀랜드 드라이브" 등 다수의 작품에서 함께 해 온 영화 음악 작곡가로서는 거장의 반열에 오른 아티스트이다. 록 뮤지션들의 곡들이 다수 포함되어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자면 일렉트로니카가 분위기를 지배하고 있으며, 거기에 인더스트리얼, 록, 아방가드르, 재즈 등이 힘을 더하고 있다.
* Produced by Trent Rezner (Nine Inch Nai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