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RES
TYPES
EXCLUSIVE & RARE
Contact
Payment
모바일 버전으로 이동하기
로그인 관련 에러 발생시에는 우선 인터넷 브라우저의 쿠키 및 임시파일을 삭제 후 다시 시도해주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것은 FAQ의 [로그인 및 접속 에러시 조치안내]를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CLOSE
3일간 팝업창 열지 않기
연휴로 인해 택배 출고는 부터 재개될 예정입니다
평일 기준 오후 3시 이전에 결제 확인시, 대부분 당일 발송 처리됩니다 (단, 결제 확인 지연시 다음날 출고)
주문내에 입고 예정(Pre-order) 및 개별구매 대행 제품이 포함된 경우, 모든 제품이 입고된 후 발송됩니다
그외 개인적인 사정상 배송을 늦추길 원하시면, 주문시 메모란에 적거나 1:1 Q&A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Like A Prayer (US Version)
이 음반은 현재 23분께서 추천해주셨습니다
+ 확대 | - 축소
팝의 여제, 마돈나 최고의 걸작 중 하나로 손꼽히는 Like A Prayer (1989년 作)
MTV의 도래기이자, 뉴웨이브와 흑인 음악, 일렉트로니카, 라틴 뮤직 등 다양한 장르가 팝뮤직에 본격적으로 흡수되며 풍요와 욕망을 그대로 나타냈던 시대였던 1980년대. 그 시대의 끝자락에 발표된 마돈나의 4번째 정규 앨범 Like A Prayer는 80년대초 데뷔 이후 Material Girl로 영화계까지 진출하며 팝계의 아이콘으로 등극한 그녀의 방대한 디스코그래피에서도 팬들과 평단 모두로부터 반드시 세손가락 안에 드는 결정적인 작품이다.
그녀는 데뷔초부터 80년대 후반까지 신디 로퍼와 라이벌 관계를 유지하며 3장의 정규 앨범과 Who's That Girl (OST) 등으로 수많은 히트곡을 양산해냈다. 하지만 데뷔앨범 Madonna와 Like A Virgin을 발표하고 활동할 당시 그녀에 대한 평가는 대부분 (물론 뒤늦게 그 앨범들 역시 높은 가치를 인정받았지만) 히트곡들인 Holiday, Lucky Star, Like A Virgin은 음악성과는 거리멀고 단지 춤 좀 잘추며 당시 탄생한 MTV의 도움을 받아 섹스 어필에 의존해 성공한 일개 댄스팝 가수에 불과했다. 그녀가 데뷔 앨범부터 이미 상당수의 곡을 만드는데 참여해 온 사실을 아는 사람은, 데뷔 30년이 다되어가는 지금까지도 그리 많지 않다. 물론 그녀를 확실한 스타덤에 올린 2집 Like A Virgin에서는 Nile Rodgers, Papa Don't Preach와 La Isla Bonita 등으로 성숙미를 보여준 3집 True Blue에서는 Patrick Leonard라는 뛰어난 프로듀서들의 도움을 받았지만, 자신에게 맞는 프로듀서를 선택해 적절하게 변신하는 것 역시 뮤지션의 능력이며 2집 이후부터는 거의 모든 곡의 작곡에 참여했다는 점은 그녀가 몇년 반짝한 후 사라질 만만한 존재가 아니라는 것을 이미 증명하고 있었다. 그리고 마돈나가 30대에 접어든 이후 첫 작품인 Like A Prayer에서 그녀는 비로소 평단으로부터도 음악적 인정을 받아내는데 성공했다.
True Blue(1986), Who's That Girl(OST, 1987)에 이어 2년만에 발표한 본 앨범은 다시 한번 Patrick Leonard, Stephen Bray와 손을 잡았다. 이번 앨범의 특징은 Pop Dance 스타일뿐 아니라, Rock, Funk, Soul 등 다양한 장르가 적절한 비율로 혼합되어 있다는 점이다. 상업적으로도 앨범은 예상대로 US 앨범차트 1위를 석권하며 4백만장 이상의 판매고를 올리는 등 전작을 잇는 성공을 기록했다. 또한 미국 뿐 아니라 그녀의 인기는 더욱 범위가 넓어져 영국과 독일에서 각각 120만장 이상 판매되는 등 유럽, 호주, 일본 등을 비롯한 세계 각국에서 1위를 기록하며 폭발적인 반응을 얻었다. 싱글 차트에서의 활약 역시 대단했는데 당시 뮤직비디오로도 상당한 논란이 된 타이틀곡 "Like a Prayer" 싱글은 미국 뿐 아니라 영국, 유럽 등지에서 모두 1위를 휩쓸었다. 그외에도 앨범에는 여성으로서의 자신감을 주장하는 "Express Yourself"(US싱글차트2위), 달콤한 팝발라드 "Cherish"(US싱글차트2위), "Keep It Together"(US싱글차트8위), "Oh Father"(US싱글차트 20위) 등 빅히트 싱글을 쏟아냈다. 한편 마돈나의 어머니의 죽음에 관한 곡인 Promise to Try에서는 당시 (그녀와 마찬가지로) 팝계 최고의 문제아이자 천재뮤지션이었던 프린스(Prince)가 참여하기도 했다. (그는 또한 Like A Prayer의 인트로 등 몇곡에서 짧게 기타를 연주했으나 앨범의 크레딧에는 올라가지 않았다) 이는 그녀 최초의 듀엣 곡이라한다. 또한 "Till Death Do Us Part"에서는 80년대 중반 화제가 되었던 영화배우 션 펜과의 결혼/이혼에 관해 언급하고 있다. 그녀는 90년대 이후에도 또다시 변신을 거듭하며 80년대의 팝뮤지션들 중 정상에 남아있는 유일한 생존자로서 쉼없이 달려와, 어느덧 데뷔 30여년을 맞이하고 있다.
* AMG: 10/10
- US 판매량 : 4 x platinum +
- 전세계 판매량 : 1,300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