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ENRES
TYPES
EXCLUSIVE & RARE
Contact
Payment
모바일 버전으로 이동하기
로그인 관련 에러 발생시에는 우선 인터넷 브라우저의 쿠키 및 임시파일을 삭제 후 다시 시도해주시기 바랍니다. 자세한 것은 FAQ의 [로그인 및 접속 에러시 조치안내]를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CLOSE
3일간 팝업창 열지 않기
연휴로 인해 택배 출고는 부터 재개될 예정입니다
평일 기준 오후 3시 이전에 결제 확인시, 대부분 당일 발송 처리됩니다 (단, 결제 확인 지연시 다음날 출고)
주문내에 입고 예정(Pre-order) 및 개별구매 대행 제품이 포함된 경우, 모든 제품이 입고된 후 발송됩니다
그외 개인적인 사정상 배송을 늦추길 원하시면, 주문시 메모란에 적거나 1:1 Q&A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
BE
이 음반은 현재 2분께서 추천해주셨습니다
+ 확대 | - 축소
리암 갤러거를 중심으로 오아시스 멤버들로 구성된 밴드 Beady Eye의 두번째 정규 앨범 Be
2013년 4월, 신곡 ‘Flick Of The Finger’와 함께 두 번째 정규 앨범 제목이 [Be]가 될 것임을 공표한다. 프로듀서로는 TV 온 더 라디오(TV On The Radio)의 데이브 시텍(Dave Sitek)이 기용됐는데 꽤나 의외였다는 생각이 든다. 그간 데이브 시텍은 예예예스(Yeah Yeah Yeahs)나 라이어스(Liars), CSS 등 동년배, 그것도 뉴욕 출신 인디 성향의 아티스트들의 앨범을 주로 작업해왔기 때문이다.
일단 앨범의 커버 사진이 인상적이다. 이 커버 사진은 6, 70년대 런던을 대표하는 잡지 노바(Nova)의 아트 디렉터, 그리고 사진작가인 해리 페치노티(Harri Peccinotti)의 작품이다. 주로 여성을 다룬 에로틱한 사진들을 촬영해 온 그인데 이 커버 사진의 경우 해리 페치노티가 자신의 와이프를 찍었던 사진이라고 한다. 이런 사진을 선택한 것은 확실히 비디 아이가 싸이키델릭 시절을 복원하려 한다는 듯한 제스처처럼 비춰지기도 했다.
비디 아이의 신작 [Be]를 두고 리암 갤러거는 '[(What's the Story) Morning Glory?] 이후 오아시스가 만들어야 했던 작품'이라고까지 언급하면서 '우주 바깥으로 발사되어지는 로큰롤'이라 표현했다. 우주적인데다가 금관악기가 다수 들어간 로큰롤은 사실 90년대 한창 잘나가던 시기의 스피리추얼라이즈드(Spiritualized) 스럽다는 느낌 또한 준다.
자신들이 언급한대로 전반적으로 스페이스-에이지의 기운, 그리고 싸이키델릭한 내용물을 담아냈다. 최근 몇 년간 댄스 뮤직이 차트와 클럽을 정복해내고 있는 가운데 정통 록 밴드들은 빛을 잃어가고 있는 듯 싶었다. 게다가 -원 디렉션을 제외한- 대부분의 영국 출신 아티스트들 또한 미국 아티스트들에 눌려 힘을 잃고 있었다. 이런 상황에서 비디 아이는 '로큰롤은 이렇게 하는 거다' 하는 태도로 갑자기 나타나 멋진 한 장을 완성시켜냈다.
이전과 마찬가지로 6,70년대 영국 록의 훌륭한 점들이 현대적으로 해석된 채 웅장하게 울려갔다. 그리고 여기에 리암 갤러거의 목소리가 장착되어있는 것만으로도 곡은 어떤 설득력을 갖게 된다. 오아시스 시절에도 그랬지만 노엘이 쓴 곡을 최종적으로 '로큰롤화' 시켜내는 것은 결국 리암 갤러거의 목소리였다. 확실히 그의 목소리에는 곡을 바꿔내는 마법 같은 것이 존재한다. 어떤 의미에서 오아시스의 사운드는 비디 아이의 앨범에 존재하지 않는다. 그저 로큰롤에 필요한 혈기, 그리고 적당한 약 기운만이 있을 뿐이다. 좋은 의미에서든 그렇지 않은 의미에서든 어찌 보면 노엘이 이끌던 오아시스에서는 절대로 이런 곡들이 태어날 수가 없었을 것이다.
후기 오아시스 보다는 어떤 밴드적 기능을 제대로 발휘해간다는 기분이 든다. 이제 막 시작하는 밴드의 에너지나 초기의 순수한 충동 같은 것도 비춰진다. 세 명 모두 멋진 곡들을 써갔으며 이 밴드의 민주적 송라이팅 정책이 강조되는 것도 사실이지만 사실 그런 건 그다지 중요하지 않다. 오아시스 시대와는 표현 방법은 다르지만 변함없이 음악에 대한 열정과 투박한 자세, 그리고 브리티시 로큰롤과 블루스에 대한 이들의 애정을 충분히 감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음, 나는 자신 있다. 그것은 '오만'이 아니라 '자신'이다.” - 리암 갤러거
- Producer : Dave Sitek
* AMG : 8/10
Liam Gallagher - lead vocals, tambourine, guitar
Gem Archer - guitar, keyboard, backing vocals
Andy Bell - guitar, keyboard, backing vocals
Jay Mehler - bass
Chris Sharrock - drums and percuss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