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확대 | - 축소
이 음반의 첫번째 추천자가 되어주세요
"투명하게 연주되는 더 없이 아득한 멜로디 유럽 전역과 아시아, 그리고 시겨 로스(Sigur Ros)를 사로잡은 아이슬랜드의 젊은 천재 올라퍼 아르날즈(Ólafur Arnalds)가 엮어낸 북유럽 음악 씬의 새로운 개막을 알리는 뜨거운 화제작. [Variations of Static + Found Songs]"
"進化의 讚美
국내에는 단지 시겨 로스(Sigur Ros)의 유럽 투어에서 오프닝 무대를 장식했다는 정보 밖에 없었던 1987년 생 올라퍼 아르날즈(Ólafur Arnalds)는 의외로 음반시장에서 선전했다. 한국인 특유의 감성을 자극하는 서정미를 통해 꾸준하게 입소문이 퍼졌는데 이는 예상치 못한 의외의 놀라운 판매고로 이어졌다. 이 아이슬랜드 젊은이가 주조해낸 우아한 선율의 포스트-클래시컬 사운드는 피아노와 현악기를 중심으로 안타까우면서도 아름다운 세계관으로 재창조됐다. 그리고 그것은 한국에서도 유효했다.
올라퍼 아르날즈는 아이슬랜드의 수도 레이카비크(Reykjavik)에서도 몇 킬로미터 떨어진 작은 마을에서 자랐다. 다양한 음악을 해왔고 또한 다양한 친구들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도 알려져 있다. 독일의 메탈 밴드 헤븐 셸 번(Heaven Shall Burn)의 앨범 [Antigone]의 [Intro]와 [Outro]를 제공해주기도 했으며 아이슬랜드 하드코어 밴드인 파이팅 쉿(Fighting Shit)과 케레스틴(Celestine)에서는 드럼을 연주하기도 했다. 지금 언급한 각 밴드의 마이스페이스 페이지에 가보면 그가 정말 미친 드러머였다는 사실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클래시컬한 모양새를 바탕으로 익스페리멘탈/엠비언트를 접목시키면서 이 씬의 신성에서 어느덧 중심인물로 위치가 바뀌었다. 황량한 아이슬랜드 풍경이나 핵전쟁이후 아무도 없는 세계를 상상하게끔 만드는 공허한 아름다움을 보여줬다는 평가를 받았다. 피아노와 현악기의 멜로디를 다른 여러 복잡한 요소들과 섞어내면서 자신만의 바운더리를 구축해냈다. 대부분의 작업은 집 내부의 자체 스튜디오에서 이루어졌다는데 어린나이에 무서운 재능을 보이면서 동종업계의 잘 나가는 횽들에게 이쁨을 받기도 했다. 현재는 요한 요한슨(Johann Johannsson)과 함께 아이슬랜드의 현재 기온을 비교적 적확하게 캐취해내고 있는 인재로 분류되고 있다. 얼음의 세계에서 만들어진 듯한 맑은 울림의 현악기와 일렉트로닉한 요소들의 충돌은 과연 아이슬랜드를 비롯한 북유럽권 음악팬들의 필청을 요구할만하다.
※ 한국에서는 특별히 올라퍼 아르날즈가 발표한 두 장의 EP [Variations of Static]과 [Found Songs]가 합본으로 발매됐다. 각각 EP 한 타이틀씩만을 구입해서 감상하기에는 뭔가 시간적인 부분에서 아쉬움이 남을 수 있는 문제점을 해소해주려는 한국 음반사의 배려가 엿보이는 부분이기도 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