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확대 | - 축소
이 음반은 현재 22분께서 추천해주셨습니다
앨리스 인 체인스를 대표하는 명반 3장으로 구성된 박스셋
Facelift (1990) 국내에서는 2집 Dirt의 대성공 이후 본작이 뒤늦게 발매되기도 했지만, 에너지와 곡의 품질에 있어서 2집에 뒤쳐지지 않는다. 그들의 대표곡이라고 할 수 있는 Man In The Box와 We Die Young을 비롯해 Sea Of Sorrow, Bleed The Freak, Love Hate Love 등 2집보다는 좀더 블랙 사바스 풍의 정통 헤비메틀에 가까운 스트레이트한 사운드를 들려준다. 하지만 기존의 7-80년대 메틀과는 분명한 차이를 갖고 있으며, 이들의 음악은 사운드가든 등과 함께 (당시 편의에 의해 뭉뚱그려 불리던 시애틀 그런지라기 보다는) 90년대의 진정한 얼터너티브 메틀의 시작으로 봐도 무방할 것으로 보인다. 그렇기 때문에 이들의 음악은 다른 얼터너티브 밴드들과 달리 메탈리카, 메가데스, 슬레이어 등 당대 내로라하는 선배 스래시 메틀 밴드들로부터도 많은 관심과 사랑을 받았다.
본 앨범의 가치는 특히 이미 거의 완벽에 가까운 보컬 故 레인 스탤리의 보컬(더불어 AIC만의 독특한 분위기를 만들어내는 제리의 뛰어난 배킹 보컬)과 제리 캔트렐의 착실하면서도 센스 넘치는 기타 워크이다. 이런 점들은 앨리스 인 체인스를 출중했던 90년대 초의 많은 밴드들 중에서도 빛나게 만들었다. 앨범의 프로듀서는 제인스 어딕션의 정규 앨범에 참여한 데이브 저든이 담당했다.
Dirt (1992) 너바나/펄잼 등에 의한 한참 음악계의 지각변동이 있었던 1992년을 기점을 볼 때 좀더 앞선 1990년에 이미 데뷔 앨범 FACELIFT를 발매하고 상당한 주목을 받았던 밴드가 있었으니 그들이 바로 앨리스 인 체인스다. 이들의 데뷔 앨범에 담긴 음악은 가사나 사운드, 이미지 등 모든 면에서 당시까지는 메인스트림 록씬을 쥐고 있던 팝 메틀과는 거리가 멀었고 그렇다고 정통적인 스래시 메틀이나, 비스티 보이스나 페이스 노 모어같이 랩, 힙합 등이 혼합된 크로스오버 뮤직을 하는 것도 아니었다. AIC는 블랙 사바스적인 헤비니스에 동시에 사이키델릭함, 블루지한 감성을 두루 갖고 있는 색다른 사운드로 좀 개성적인 메틀 밴드로 불리웠다. 색다른 음악이었지만 대중적으로 Man In The Box나 We Die Young 등이 빅히트하며 젊은층이나 평단에게는 주목할만한 밴드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한편 2년만에 발표된 후속작 Dirt가 나온 1992년 가을은 본인들로서나 외부의 음악적 환경으로나 상당히 달라졌다. Dirt는 이들의 음악 역시 데뷔 앨범과는 공통적인 색깔도 있지만 분명한 차이점 역시 갖는다. 밴드의 음악적 주도권을 쥐고 있는 제리 캔트렐(기타, 배킹보컬)의 리프와 레인 스탤리(리드 보컬)의 샤우팅이 돋보이는 Them Bones와 Dam That River의 시원스러운 메틀 사운드로 시작되는 앨범은 스래시한 헤비 리프 속에서도 특유의 싸이키델릭한 면은 여전하지만 데뷔작에 비해 좀더 강하면서도 세련된 느낌이다. 하지만 Dirt의 진가는 이어지는 Rain When I Die부터 본격적으로 드러난다고 볼 수 있다. 블루지한 헤비사이키델릭의 홍수 Rain When I Die부터 싸이키델릭하지만 어떤 곡보다도 감성적인 Down In A Whole, 그리고 베트남 참전 용사에 관한 사실적인 내용을 담고 있는 Rooster, 약물과의 싸움을 다룬 Junkhead, Dirt, God Smack, Angry Chair 등으로 완벽하게 연결되는 트랙들은, 한마디로 이들이 아니고서는 도저히 상상할 수 없는 AIC만이 보여준 사이키델릭한 헤비메틀의 극치라고 할 수 있다. 이들의 출신 배경을 통해 장르를 당시 주류를 이루던 얼터너티브록, 그런지로 볼 수도 있지만 확실히 펄잼, 너바나 혹은 그들의 아류들과는 분명히 다른 선을 긋는다. Dirt에서 AIC의 곡마다 강약과 템포를 조절하면서도 전체를 관통하는 어둡고 혼란스러우며 침잠하는 분위기는 그 어떤 앨범보다도 강력하다. 레인에 의해 주도된 가사 역시 솔직한 동시에 자조적이면서도 슬프며, 절망적인 메시지를 담고 있으며, 사운드와 따로 놀지않고 완전히 하나가 되어버린다. 다른 마지막 곡 Would-는 영화 Singles에 수록되어 전작의 Man In The Box를 뛰어 넘는 빅히트를 기록했다. 그들의 고향 친구인 머더 러브 본의 보컬 앤드류 우드를 추모하는 곡이기도한데, 안타깝게도 레인 스탤리는 결국 그의 친구를 따라가버리고 만다.
Jar Of Flies (1994) 1994년 당시 전성기를 구가하던 팝의 여왕 머라이어 캐리의 Music Box를 제치고 EP(AIC의 세번째 EP)로는 빌보드 역사상 최초로 앨범 차트 1위에 등극한 기록을 보유한 앨리스 인 체인스의 명반이다 (EP로 앨범차트 1위를 기록한 이 사건은 이후로도 10년 넘게 동안 깨지지 않았으며 현재까지 단 2장에 불과하다.) 30분 남짓의 러닝타임에 총 8곡이 수록된 본 앨범은 1993년 9월 단 1주일만에 레코딩은 물론 밴드 스스로 프로듀싱까지 처리했지만, 곡의 완성도부터 연주에 이르기까지 놀라운 퀄리티를 갖고 있다. 앨범의 타이틀이자 커버에 등장하는 Jar of Flies는 기타리스트이자 메인 송라이터인 제리 캔트렐이 어린 시절 과학시간에 겪었던 경험에서 비롯된 것이다.
앨범의 성향은 기존의 정규 앨범과는 전혀 다른 어쿠스틱한 분위기의 멜로우한 곡들이 주를 이루고 있지만 몇몇 곡들에서는 AIC 특유의 사이키델릭한 느낌이 배어있다. 싱글로 히트를 기록한 "I Stay Away", "No Excuses", "Don't Follow" 등은 물론 이들 최고의 명곡 중 하나로 손꼽히는 "Nutshell", "Rotten Apple", "Whale And Wasp"까지 거의 전곡이 싱글로 커트되어도 무방할 정도다. 판매고 역시 멀티플래티넘을 기록할 정도로 상당히 뛰어나 현재까지도 명반으로 많은 사랑을 받고 있다. 실력있는 밴드란 무엇인가 보여주듯 여유와 진지함이 동시에 느껴지는 얼터너티브록의 보석과도 같은 작품이다.